[2020] 서정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2 17:35
본문
Download : 서정시_2028025.hwp
첫째 단락에서 시적 화자는 모란이 필 그의 봄을 기다리고 있다아 그러나 둘째 단락에 이르면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 모란이 떨어져 다시 슬픔에 잠기게 될 것을 예견하고 있으며, 셋째 단락은 그가 설움에 잠기게 될 future 의 상황을 증명해 줄 뿐 아니라, 그가 갖고 있는 삶의 구도를 명확…(省略)
서정시에 대한 소개와 김영랑 시인과 정호승 시인의 작품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서정시 , 서정시감상서평레포트 ,
설명
Download : 서정시_2028025.hwp( 78 )






순서
다.
▶ 의미상 대응 : 모란, 봄, 보람
▶ 서정적 자아가 지향하는 세계와 유사 : 고요한 호수에 흰 물새 날고 / 좁고 들길에 들장미 열매 붉어 / 멀리 노루새끼 마음놓고 뛰어 다니는 / 아무도 살지 않는 그 먼나라를 알으십니까?
▶ `기다림→설움→절망→기다림`의 대칭 구조, 순환론적 세계관(기다림 → 좌절 → 기다림)
▶ 미의식 비장미(자기 희생이나 슬픔 속에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
▶ 표현: 1. 나긋나긋하고 감칠 맛 나는 전라도 방언으로 여성적 어투와 자연스러운 운율감 형성함
2. 역설이 한층 비애미를 자아냄
3. 전통적인 기다림의 정서를 시적 정서로 승화시킴
*해설*
이 시는 영랑이 남달리 좋아하던 모란을 소재로 하여 한시적(限時的)인 아름다움의 소멸을 바라보는 시적 자아의 비애감을 표현한 작품으로, `모란`은 실재하는 자연의 꽃인 동시에 지상에 존재하는 모든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대유적 기능의 꽃이다.
연 구분이 없는 이 시는 작품 속에 전개되는 시간의 추이로 보아 네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아 현재인 첫째 단락은 1~2행이며, future 인 둘째 단락은 3~4행, 과거인 셋째 단락은 5~10행, 현재의 넷째 단락은 11~12행으로 첫째 단락의 반복이다.서정시에 대한 introduce와 김영랑 시인과 정호승 시인의 작품에 마주향하여 설명(說明)했습니다.
서정시
,감상서평,레포트
서정시
레포트/감상서평
*감상포인트*
▶ 서정적 자아: 소망을 품고 기다리는 어느 여성
▶ 모란은 지상의 꽃 중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상징성
▶ 모란이 피기까지 봄을 기다린다는 것은 그 꽃이 바로 삶의 가치이며 보람
▶ `모란`과 `봄`을 생성과 소멸이 결합한 이미지로 표현함으로써 자연의 순환적 속성을 말하고 있다아 그것은 인간이 `희망`과 `절망`의 상반된 태도를 함께 지니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깨달음으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