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港灣)에 마주향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09:52본문
Download : 항만(港灣)에 대해서.hwp
나아가 바다 건너 다른 나라와의 교역에 대한 피료썽이 증진되면서 항만은 교역의 관문으로서 국민경제를 뒷받침하는 사회간접자본시설로서의 기능을 갖기 처음 했다. 항만이 갖는 의미와 종류 및 항만시설에 마주향하여 알아봤습니다.
레포트/공학기술
%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1.gif)
%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2.gif)
%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3.gif)
인류가 수자원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면서 항만의 존재 가치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또 가능한 한 굴곡부가 없어야 하지만 불가피할 때는 각 중심선의 교각이 30도를 넘지 않도록 한다.
• 박지(泊地)(Anchorage)는 잔잔하고 충분한 수역, 닻을 내리기 좋은 지반이라야 하며, 그 규모는 사용목적 및 정박 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아
• 선회장(船回場)은 예선(曳船)의 유무, 바람, 조위의 影響 등을 고려, 안전한 조선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면을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대개 자선의 경우 대상 선박 길이의 3배를 직경으로 하는 원이며 예선이 있을 경우에는 대상선박 길이의 2배를 직경으로 하는 원으로 한다.
6. 이외의 대표적 항만 시설
• 외곽 시설로는 방파제, 방사제, 도류제, 방조제, 제방, 호안, 수문, 갑문 등을 들 수 있다아
• 계류시설은 안벽, 물양장, 잔교, 돌핀, 부잔교, 계선부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중 안벽의 경우는 선박의 이접안이 편리하고 항입구로부터 선박항 행이 편리하며 선박의 대형화, 전culture에 대한 소요 여부를 감안하여야 한다. 나아가 바다 건너 다른 나라와의 교역에 대한 필요성이 증진되면서 항만은 교역의 관문으로서 국민경제를 뒷받침하는 사회간접자본시설로서의 기능을 갖기 시작했다. 아울러 항만구역 내의 항로는 대상선박의 선석 수심을 표준으로 하지만 외항로의 경우에는 선박의 진동, 트림, 해저지질 등에 따른 여유 수심을 고려해야 한다.
1. 항만(Harbour)의 definition
2. 항만 분류의 기준
3. 항만의 관리운영 형태
4. 항만의 시설
5. 수역시설
6. 이외의 대표적 항만 시설
7. 좁은 의미의(협의의) 항만시설
항만시설은 일반적으로 수역시설, 외곽시설, 계류시설, 임항교통시설, 보관시설, 선박보급시설, 항만후생시설, 선박건조 및 수리시설로 대별할 수 있다아 그러나 이중 대표적인 것으로 수역시설, 외곽시설, 계류시설 등을 들수 있으며 좁은 의미의 항만시설로는 부두, 안벽, 잔교, 창고 등 10여가지를 들 수 있다아
5. 수역시설
수역시설에는 항로, 박지(泊地), 선회장(船回場) 등이 있다아
• 항로(Access Channel)는 바람과 파랑방향에 대해 30도~60도의 각도를 갖는 것이 좋으며 조류 방향과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7. 좁은 의미의(협의의) 항만시설
좁은 의미의 항만시설에는
• 부두(Wharf) - 화물의 하역과 여객의 승…(생략(省略))
다. , 항만(港灣)에 대해서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항만(港灣)에 대해서.hwp( 29 )
설명
순서
항만(港灣)에 마주향하여
인류가 수자원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면서 항만의 존재 가치가 생겨나기 처음 했다. 항만이 갖는 의미와 종류 및 항만시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