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춘향전의 이본과 근원설화 및 문학사적 위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6 21:34
본문
Download : 고전소설 춘향전의 이본과 근원설화 및 문학사적 위상.hwp
그리고 판소리계 소설로써의 춘향전과 현대적으로 변모된 춘향전을 소설과 대중매체로 나누어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춘향전의 문학사적 위상을 끝으로 연구를 마치고자 한다.






고전소설 춘향전의 이본과 근원설화 및 문학사적 위상
춘향전의 100여 종이 넘는 이본의 종류와 춘향전의 근원설화들을 알아보고 작가연구와 등장인물, 배경, 주제등 춘향전의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이본들의 계통과 특징
1) 남원고사계통 이본*
남원고사계 춘향전으로는 <남원고사>를 비롯하여 <동경대본>, <동양문고본>, <도남문고본>과 최남선이 <동양문고본>의 이본을 모본으로 신문관(1913)에서 발행한 <고본>등이 있다 활자본인 <고본>을 제외하면 모두 필사본인데, <도남문고본>은 궁중의 여성독자용으로 필사된 것을 보이고, 나머지 이본들은 세책가를 통해 독자에게 유통되었던 세책본이다. 그리고 <고본>은 국민교육을 목적으로 발행한 것이다.
Ⅰ. 서론
Ⅱ. 춘향전의 이본 연구
1. 이본들의 계통과 특징
2. 이본들 사이의 선후관계
3. 최고본(最古本)
Ⅲ. 작자 연구
Ⅳ. 춘향전의 배경 연구
1. 공간적 배경
2. 역사(歷史) · 사회적 배경
3. 사상적 배경
Ⅴ. 춘향전의 주제 연구
1. 부정적인 입장
2. 긍정적인 입장
3. 춘향전의 주제의 타당성
Ⅵ. 춘향전 근원설화 연구
1. 관탈민녀형 설화의 양상
2. 근원설화의 내용
Ⅶ. 등장인물론
1. 인물analysis(분석)
2. 춘향의 성격구조 (줄거리 중심으로)
3. 인물간의 갈등
Ⅷ. 판소리계 소설로서의 춘향전
1. 판소리계 소설의 definition 과 형성과정
2. 춘향가와 춘향전 비교
Ⅸ.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 양상
1. 희곡
2. 소설
3. 시
Ⅹ. 대중매체에서의 춘향전
1. <춘향전>이 대중화 될 수 있는 이유
2. <춘향전>의 영상화
3. 영화에서의 <춘향전>
4. <춘향전>의 대중적 성격
Ⅺ. 문학사적 위상
1. 현실인식과 이상 반영
2. 적층 문학적 성격
3. 판소리계 소설
4. 수준 높은 미학성
5.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
Ⅻ. conclusion
이러한 춘향전 이본 중에는 계통 관계가 뚜렷하지 않은 이본도 다수 있지만 계통관계가 뚜렷한 이본군도 있다 지금부터 뚜렷한 계통을 가지고 있는 이본들을 바탕으로 이본의 특징과 계통의 특징을 알아본 후, 문맥 또는 행문을 통해 이본들의 선후 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판소리계 소설로써의 춘향전과 현대적으로 변모된 춘향전을 소설과 대중매체로 나누어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춘향전의 문학사적 위상을 끝으로 연구를 마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춘향전의 최고본(最古本)을 밝히도록 하겠다. ‘누동’이라는 필사자가 한 면 12행, 한 행 1…(省略)
레포트/감상서평
춘향전의 100여 종이 넘는 이본의 종류와 춘향전의 근원설화들을 알아보고 작가연구와 등장인물, 배경, 주제등 춘향전의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다.고전소설-춘향전 , 고전소설 춘향전의 이본과 근원설화 및 문학사적 위상감상서평레포트 ,
순서
고전소설-춘향전
설명
,감상서평,레포트
Download : 고전소설 춘향전의 이본과 근원설화 및 문학사적 위상.hwp( 44 )
다. 현재 전하고 있는 이본은 몇 안되지만 19세기에는 여러 질의 남원고사계 춘향전이 유통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남원고사>는 프랑스 파리의 동양어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이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