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보자기의 종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5 09:47본문
Download : 전통 보자기의 종류.hwp
보부상보: 보부상이란 보상(보따리 장수, 여자 행상)과 부상(등짐장수, 남자 행상)을 말하는데, 이들이 팔 물건을 싸서 갖고 다닐 때 쓴 보자기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로 질긴 천인 베나 굵은 모시 등속을 보자기 감으로 썼다. 이불보에 싼 이불은 대개 반닫이에 얹어 두었다.
덮개보 : 받침보와 같…(skip)
다.
버선본보 : 보선보 주머니라고도 하는데, 반주머니 형태로 네 귀 중 두 귀는 접어서 꿰매고 두 귀는 매듭단추를 달아 끼우도록 했다.
이불보 : 일명 자리보라고도 하는데, 때가 덜 타고 눈에 잘 띄지 않게 하기 위해 아청색이나 검정색 무명과 굵은 모시 등을 주로 사용하여 만들었다. 이 속에 한지로 오려 만든 버선본을 보관했다. 그리고 보자기의 네 귀에 끈을 매달아 밥상을 옮길 때 편리하게 만든 것도 있다 밥상보에는 한쌍의 주발보가 딸려 있기도 한테, 이것은 부부용이며 청홍색으로 부부를 구별했다.
옷감보: 옷감의 종류에 따라 싸 두는 옷감과 같은 천으로 만들었다.
빨래보 : 뺄랫감을 싸는 보자기로, 다듬이질과 다리미질 전에 빨래를 싸서 발로 밟는 과정에 쓰기 때문에 쉽게 닳았다.
받침보 : 가락지, 골무 등 비교적 작은 물건을 보관해 두는 상자 속에 까는 것으로, 패물의 훼손을 방지하고 바닥 장식을 겸했다.
후리보: 여행할 때 어께나 허리에 걸치는 보자기로, 잡물을 싸서 휴대하는데 썼다.
즉 비단은 비단 보자기에, 무명이나 모시는 무명이나 모시 보자기에 싸두었다. 여기에 장생문이나 화문을 수놓은 가오리연 모양의 띠를 둘러 장식하기도 했다.
설명
순서
전통 보자기의 종류
up전통보자기의종류
전통 보자기의 종류에 대해서 쓴 리포트입니다. 밥상보에는 식지를 쓴 경우가 많다.
밥상보: 여름용은 통풍이 잘 되도록 사지나 모시로 만들어 꼭지를 붙여 밥상에 덮어 파리나 먼지 등을 막았다. 식지보
라. 누비보
마. 노리개보
바. 당채보
2. 민보(民堡)
가. 상용보
나. 혼례용보
다. 특수용보
라. 불교 의식용보
가. 상용보
전대보 : 공사용의 문서와 물건을 전할 때 사용하던, 길고 양쪽 끝이 터진 자루 모양의 보자기를 말한다.up전통보자기의종류 , 전통 보자기의 종류기타레포트 ,
1. 궁보(宮湺)
가. 홑보
나. 겹보
다. 옷감보의 규격은 대체로 3~4폭이며 조각 천을 이용해서 만든 조각보가 많다. 겨울용은 두터운 천으로 겹보를 만들거나 솜을 두어 보온에 유의했다.
레포트/기타
Download : 전통 보자기의 종류.hwp( 45 )






,기타,레포트
전통 보자기의 종류에 마주향하여 쓴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