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4대 자연개조사업과 3대혁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9:59
본문
Download : 북한의 4대 자연개조사업과 3대혁명.hwp
,법학행정,레포트
북한의4대자연개조사업과3대혁명
순서
설명
북한의 4대 자연개조사업과 3대혁명
[ 4대 자연개조사업 ]
1981년 10월 노동당 제6기 4차 전원회의에서 제기, 추진되고 있는 △서해갑문 건설 △태천발전소 건설 △30만정보 간석지 개간 △20만정보 새땅찾기를 종합하여 일컫는 말이다.
3대혁명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제기된 것은 73년 9월 개최된 로동당 제5기7차 전원회의에서 기존의 사상·기술·文化(문화)혁명을 하나로 묶어 「3대혁명」이라는 고유명사로 사용한 때부터이다. 북한의4대자연개조사업과3대혁명 , 북한의 4대 자연개조사업과 3대혁명법학행정레포트 ,
북한의 4대 자연개조사업과 3대혁명
다.
이 사업은 만성적인 식량난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이 서해갑문 및 태천발전소 건설을 통해 북한의 주요 곡창지대인 대동강·대령강 유역의 홍수조절과 농업용수 공급을 원활히 하고 총 50만 정보에 달하는 간석지 개간 및 새땅찾기 사업을 통해 북한 전체면적의 18%에 불과한 경지면적을 늘림으로써 식량증산을 꾀한다는 목적하에 추진되고 있따
북한은 이에 앞서 1976년 10월 노동당 제5기 12차 전원회의서 △밭 관개완성 △토지정리(整理) ·토지개량 △다락밭 건설 △치산치수 △간석지 개간 등을 내용으로 하는 「자연개조 5대방침」을 결정, 식량증산을 목적으로 한 자연개조사업을 추진한 바 있따
그러나 북한은 자연개조 5대방침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채 오히려 부작용만 일으키자 이를 경제건설사업 형태로 변경해 4대 자연개조사업을 제기한 것이다.
김일성은 이 테제에서 사회주의하에서의 농촌문제 해결의 기본원칙의 하나로 『농촌에서 기술혁명과 文化(문화)혁명, 사상혁명을 철저히 수행…(省略)





Download : 북한의 4대 자연개조사업과 3대혁명.hwp( 45 )
레포트/법학행정
북한의 4대 자연개조사업과 3대혁명에 대한 자료입니다.
북한의 4대 자연개조사업과 3대혁명에 대한 자료입니다.
< 3대혁명 >
북한이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를 이룩할 때까지의 과도기단계에서 대내혁명目標(목표)로 내세운 물질적 요새와 정신적 요새를 점령하기 위한 strategy적 과업으로서 사상혁명·기술혁명·文化(문화)혁명을 일컫는다.
그러나 3대혁명은 50년대 말부터 약간의 시차를 두고 개별적으로 언급됐는데 특히 64년 2월 도시와 농촌의 차이 및 로동계급과 농민의 계급적 차이를 없애고 농촌문제를 해결한다는 目標(목표)아래 김일성이 제시한 「농촌테제」에서는 이 3가지 혁명이 한 문장속에서 사용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