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6 14:55
본문
Download : 북한의 교육_2027213.hwp
(2) 무상교육제
북한은 사회전반의 부존자원과 생산수단을 국가의 소유로 하는 바, 교육재정을 국가가 책임지고 국가의 사업으로 교육을 한다.9) 북한은 원래‘4월 1일’이었던 새학년을 1969연도 “경제과업 완수를 위해 필요한 인력수급을 원활히 한다”는 이유로‘9월 1일’로 변경한 바 있따
1996. 2. 5 노동신문사설.
북한이 신학기를 또다시 봄학기로 변경한 가장 큰 이유는, 최근 adolescent(청소년) 학생들의 사상이완 때문일것이다 즉 매년 2월~4월 사이 김일성, 김정일 생일행사 관련 축제분위기에 편승하여 각급 학교의 졸업식 및 입학식을 진행함으로써 adolescent(청소년) 학생들에게 김일성부자의 존재를 확고히 심어주고, 김정일로 이어지는‘대 이은 충성’을 유도하려는 조치로 analysis된다 이는 북한선전매체(평양방송 ’96. 2. 10)가 김부자의 생일과 관련,“김일성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 속에 김일성을 민족의 영원한 수령으로, 김일성을 민족의 시조로 높이 모시고 김정일의 영도에 따라 조국통일 위업을 기어이 이룩하려는 주민들의 한결같은 의사와 간절한 소망을 담은 것”이라고 선전한데서도 입증된다
북한 정규교육의 기본학제는 4-6-4(6)제로서 인민학교 4년, 고등중학교 6년(중등반 3년, 고등반 3년), 대학 4~6년, 연구원(준박사·박사과정)으로 되어 있따 그리고 11년간 의무교육의 기간은 유치원 1년(높은반)을 포함, 인민학교 4년과 고등중학 6년 사이이다. 이를 두고‘무상교육’이라 한다. 그리고 이같은 무상교육은 보통교육과정인 유치원 높은반 1년과 인민학교 4년, 고등중학 6년의 11년간‘의무교육’으로하며, 고등교육과정인 대학은 장학제 형식으로 실시한다.북한의교육 , 북한의 교육사범교육레포트 ,
다.
레포트/사범교육
북한교육의 이념과 목적, 북한의 교육정책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또 북한의 무상교육은 의무교육기간의 교재 등 교육data(資料)의 무상공급도(…(생략(省略))
북한의 교육
설명
Download : 북한의 교육_2027213.hwp( 79 )
순서






북한교육의 이념과 목적, 북한의 교육정책에 대상으로하여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사범교육,레포트
북한의교육
서 론
I. 북한 교육의 이념과 목적
▣ 교육 이념과 목적
II. 북한의 교육정책
1. 교육행정체계
2. 교육제도
(1) 학 제
(2) 무상교육제
1) 보통교육
2) 고등교육
(3) 특수교육제
1) 특기자교육
2) 사범교육
III. 북한의 교육체제
1. 학제의 구조와 특징
2. 학교교육 체계
3. 특수목적 교육체계
4. 성인교육 체계
결 론
☞ 참고
북한의 한문교육(참고data(資料)1)
북한 교육 현장의 피폐상과 문제가되는점 (참고data(資料)2)
2. 교육제도
(1) 학 제
북한은 1996년도부터 신학기를 4월 1일로 설정했다.
이와같이 4-6-4제의 교육과정과는 달리 특수학교를 설치하고 예·체능분야의 특기자 교육과 출신constituent 에 의거한 특수교육을 별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