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분해조립 (크랭크샤프트, 실린더 분해 조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10:32
본문
Download : 기계분해조립 (크랭크샤프트, 실린더 분해 조립).hwp
• HLA를 청소할 때는 깨끗한 디젤 경유를 사용해야한다.
② 커넥팅로드의 재질: 단조스틸 또는, 주철이 일반적이지만, 강도면에서 유리한 단조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소형차에서는 생산성 및 원가면에서 유리한 주조품을 많이 사용한다. 알루미늄 콘로드는 티탄에 비해 매우 싸기 때문에, 금후 실용화 될수 있을것으로 보이지만 알루미늄은 단…(생략(省略))
기계 엔진 분해 - 크랭크 샤프트와 실린더 분해 및 조립에 대하여 사진이 포함된 작업순서와 주의사항 및 특기사항, 각 부품의 역할 및 기능 등에 대해 정리한 실습리포트입니다.
6. 부품 역할 및 기능
① 커넥팅 로드: 증기기관 ·내연기관 등에서 피스톤과 크랭크축을 연결하고, 피스톤의 움직임(동력)을 크랭크에 전달 하는 봉. 일반적으로 줄여서 컨로드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티탄은 철에 비해 대단히 고가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특별히 고회전인 스포츠카용으로만 사용될것 같다.
기계분해조립(크랜크샤프트,실린더분해조립)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레포트/공학기술
기계분해조립 (크랭크샤프트, 실린더 분해 조립)
다.
• HLA를 분해해서는 안 된다된다.기계분해조립(크랜크샤프트,실린더분해조립) , 기계분해조립 (크랭크샤프트, 실린더 분해 조립)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기계 엔진 분해 - 크랭크 샤프트와 실린더 분해 및 조립에 대하여 사진이 포함된 작업순서와 주의사항 및 특기사항, 각 부품의 역할 및 기능 등에 대해 정리한 실습리포트입니다.,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기계분해조립 (크랭크샤프트, 실린더 분해 조립).hwp( 80 )
순서
1. 날짜
2. 작업내용
3. 사용공구
4. 작업순서(사진 포함)
5. 주의 및 특기사항
6. 부품 역할 및기능
7. 기타(토의 및 結論(결론))
5. 주의사항 및 특기사항
• HLA는 정교한 부품이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커넥트는 ‘연결하다’, 로드는 ‘봉’으로서 연결 봉 또는 연접 봉이라고도 부르며, 피스톤과 크랭크축을 연결하는 것. 가볍고 강도가 높은 것이 요구되며 일반적으로 엔진용은 특수강을 단조하여 만들지만 레이스용 엔진에서는 티탄이 쓰일 때가 많다. 과거부터 레이싱용으로는 강도 및 중량면에서 유리한 {티탄}재가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혼다의 NSX같은 양산차량에도 티탄 콘로드를 사용한다. 컨 로드의 양끝은 각각의 크기에서 피스톤과 피스톤 핀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소단부, 크랭크축과 크랭크 핀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대단부라고 부름. 커넥팅 로드의 길이는 소단부의 중심과 대단부 중심간의 거리로서 피스톤 행definition 1.5~2.3배이며 길이가 길면 측압과 강성이 적어지며 엔진이 높아진다.
• HLA에 엔진오일을 채워 그림에서와 같이 손으로 A를 잡고 B를 눌렀을 때 B가 움직이면 HLA를 교환해야 한다.
• HLA의 외경에 홈이나 날카로운 모서리등이 발생치 않도록 주의한다. 길이가 짧으면 측압이 많아지며 엔진의 높이가 낮고 무게가 가벼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