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기반 학습에서 생길 수 있는 방향 상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6 17:33
본문
Download : 웹 기반 학습에서 생길 수 있는 방향 상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hwp
둘째, 동기적인 측면은 학습의 성공에 대한 믿음이다.
인지적은 측면에서는 구체적인 goal(목표) 설정(goal setting), 자기 점검(self-monitoring), 자기 평가(self-evaluation), 자기 관리(self-management)등과 같은 초인지 戰略들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신민희, 1998b/재인용 임철일, 2001)을 말하는데 신민희(1998a/재인용 임철일, 2001)의 연구에서 자기 조절 학습에서 학습한 학생들이 통계적으로 일반 environment(환경) 의 학습자들에 비하여 높은 성취도를 가지고 있는 결과를 낳았다.
1. 서 론
2. 이 론 적 배 경
3. 연 구 문 제
Ⅰ. 웹 기반 학습에서 방향상실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닌가?
① 학습의 방법적인 측면
Ⅱ. 자기 조절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방향감 상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Ⅴ. 하이퍼링크에 조작을 가하면 학습자의 방향상실을 줄여 줄 수 있을 것이다.
Ⅲ. 협동학습은 방향 상실을 줄여 학업성취도를 증가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이를 웹을 이용한 학습에서도 같은 결과를 낳을 것으로 보았는데, 그것은 웹 기반 교육상에서 방향상실이 주어진 웹상의 자율성에 비해 자기 통제적인 측면이 부족하여 발생한 결과라고 생각하고 기존 텍스트 상에서 연구된 자기 조절 학습戰略에 관한 것에 웹이라는 매체의 特性(특성)이 고려된 戰略이 개발된다면 학업성취도 면에서 보다 나은 결과를 얻게 되리라는 생각을 하였고, 이는 이인숙(2003)의 연구결과를 통해 뒷받침 할 수 있겠다.
Download : 웹 기반 학습에서 생길 수 있는 방향 상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hwp( 99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웹 기반 학습에서 생길 수 있는 방향 상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웹 기반 학습에서 생길 수 있는 방향 상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글입니다. 자아 효능감(self-efficacy)이라고 하는 성공에 대한 믿음(Bandura, 1986/재인용 임철일, 2001)은 주어진 상황에 대해 학습자가 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 이는 두 가지 방향으로 볼 수 있겠는데 자아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그렇지 않은 학습자보다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여주고 있고, 실패를 한 경우에 그 책임이 자기 자신에게 있고 이를 통제하는 사람이 자기 자신이라고 판단함으로써 학습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임한다고 보는 것이다(신민희, 1998b/재인용 임철일 2001). 웹 기반 학습에서 방향 상실 후 과제課題를…(省略)
웹 기반 학습에서 생길 수 있는 방향 상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글입니다.
② 학습에 있어 기술적인 측면
Ⅳ. 문제 해결학습에서 문제를 제시할 때 키워드를 같이 제시한다.
4. 결 론 및 제 언
자기 조절 학습이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Winne, 1995/재인용)라 볼 수 있고 이는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보고 있는데(임철일, 2001) 그것은 인지적인 측면과 동기측면, 그리고 environment(환경) 적인 측면이다.웹기반학습9 , 웹 기반 학습에서 생길 수 있는 방향 상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웹기반학습9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