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과 ASEM 그리고 ASEAN(ASEAN+3)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16:18본문
Download : APEC과 ASEM 그리고 ASEAN(ASEAN+3).hwp
ASEAN과 동북아시아
ASEAN(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동남아국가연합)은 1967년 결성 당시 5개국 회원국(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에서 1984, 1995년 각각 브루나이와 베트남을 참여시키고 최근(1997년 7월)에 미얀마와 라오스를 가입시킴으로써 현재 모두 9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아 현재 아세안 국가들은 미국, 日本(일본), EU 등 세계의 주요 교역국뿐만 아니라 국제무역기구인 …(省略)
APEC과 ASEM 그리고 ASEAN(ASEAN+3)
Download : APEC과 ASEM 그리고 ASEAN(ASEAN+3).hwp( 46 )
다.
설명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APEC과ASEM그리고ASEAN(ASEAN+3)
레포트/경영경제
APEC과ASEM그리고ASEAN(ASEAN+3) , APEC과 ASEM 그리고 ASEAN(ASEAN+3)경영경제레포트 ,
1970년대 이후 日本(일본)의 성장과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고도 성장으로 동북아시아에 대한 서양의 관심은 날로 증가되었고, 이런 성장을 가져오게 한 아시아적 가치에 대해 아시아의 기적이라느니 떠오르는 아시아라느니(the rise of East Asia)하며 관심을 집중시켰다. 그러나 1997년 말의 동북아시아의 경제위기와 그로 인한 IMF의 서구중심 금융시스템의 구제작업등으로 아시아는 그 발전가능성에 대해 비판의 소리를 듣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아시아는(특히 동북아시아) 는 그 시장성과 발전가능성 등으로 세계에서 가장 역동성 보이는 지역의 하나이다. 그런 이유 중 하나가 China의 등장을 들 수 있다아 최근 China의 급격한 성장은 구미 열강들에게 있어서 위협을 가하고 있다아 또한 이런 China과 日本(일본), 그리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국가들과 ASEAN국가들의 결속은 아시아가 더 이상 국제적으로 주변적인 위치가 아니라 중심적인 위치로 변모해 감을 보여주고 있다아 현재 APEC의 경우는 미국이 주도되어 이끌어 나가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아 이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그동안 유지해 왔던 영향력을 계속 유지하는 반면 아시아 국가들의 등장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어있다아 냉전이후에 지금까지의 세계를 아직 확립된 신질서를 구축하지 못한 과도기적(transition)단계라고 본다면 이 아시아의 행로가 그리고 서구 국가들의 아시아에 대한 戰略이 바로 다음의 시대의 성격을 결정하는 keyword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