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과 기억의 심경심리학적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21:16
본문
Download : 학습과 기억의 심경심리학적 분석.hwp
Baddeley[4]는 많은 일화기억이 축적되어 구성된 것이 의미기억이라고 보고 있으며, Cermak[60] 역시 시간…(To be continued )
학습과기억
뇌손상으로 인한 기억장애를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신경심리학(neuropsychology)적 연구결과들을 중점적으로 개관하였다.학습과기억 , 학습과 기억의 심경심리학적 분석의약보건레포트 ,
Download : 학습과 기억의 심경심리학적 분석.hwp( 13 )
다. 명제적 기억은 절차적 기억(procedural memory)과 근본적으로 다른 기억으로서, 전자의 경우 정보가 명제의 형태로 저장되는 반면 후자의 경우 정보가 명제가 아닌 어떤 형태로 저장된다고 가정된다[54, 55]. 명제적 기억과 절차적 기억의 구분은 위에서 살펴본 외현기억과 암묵기억의 구분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그렇다면 Tulving[31]은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을 둘다 외현기억으로 분류했던 셈이 된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서 Tulving[1, 56]은 적어도 정보의 인출의 면에서는 의미기억을 암묵기억의 일종으로 간주하고 있는 듯하다.
레포트/의약보건
,의약보건,레포트
순서
학습과 기억의 심경심리학적 分析






6. 의미기억과 일화기억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의 뇌생리적 기초를 살펴보기 전에 의미/일화기억의 구분과 외현/암묵기억의 구분 사이의 관계에 마주향하여 먼저 고려해야 할 문제가 있다 Tulving[31]은 일화기억이 특정한 시공간적 맥락에서 자신 또는 특정인의 주변에 일어났던 사건들에 관한 기억인 반면 의미기억은 시공간적 맥락에 구애되지 않는,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과 언어적인 지식 등으로서 두 가지가 서로 상호작용하지만 독자적인 기억체계라고 제안했다. 그리고 기억상실 증후군은 의미기억은 정상이면서 일화기억만이 선택적으로 결손된 증세라고 생각되었다[50, 51, 52, 53]. 애초에 Tulving[31]은 일화기억, 의미기억 모두를 명제적 기억(propositional memory)의 하위체계로 분류했었다. 그 이유들 중의 하나는 기억상실 증후군 환자들이 비록 아주 느리기는 하지만, 그리고 언제 어디서 획득했는지 의식적으로 회상하지는 못하지만 새로운 의미기억을 획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56, 57, 58, 59] 때문일것이다 이러한 입장에 따르면 일화기억은 외현기억과 유사하게 되고, 의미기억은 암묵기억의 일종이 된다
그런데 일화/의미기억의 구분을 다른 시각에서 보는 견해도 많다.
설명
뇌손상으로 인한 기억장애를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신경심리학(neuropsychology)적 연구결과들을 중점적으로 개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