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4 09:04
본문
Download : 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hwp
담화표지는 문장의 명제 내용에 직접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2ㄱ)의 문장 끝에 배열된 '어머님'과 (2ㄴ)의 중간에 배열된 …(To be continued )
다. (1ㄱ)의 '어머님'과 (1ㄴ)의 '말이야'는 어휘적 의미를 가진 내용어로서 각각 부름말과 상위문 동사로 기능한다. ㄴ. 이것은 그가 한 말이야. (2) ㄱ. 어머님, 제가 빨리 가겠습니다 어머님. ㄴ. 비가 너무 많이 와서 말이야 걱정이란다.
Download : 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hwp( 96 )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
, 자료(資料)크기 : 42K
담화표지되기,문법화,단어,인문사회,레포트
, FileSize : 42K , 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인문사회레포트 , 담화표지되기 문법화 단어
담화는 의사소통의 단위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담화를 이루는 문장의 구성 요소 중에는 문장의 명제 내용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으면서 화자의 발화 의도나 심리적 태도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담화표지가 사용되고 있다 담화표지의 형태는 본디 한 개의 단어인 경우도 있고 구인 경우도 있는데, 이들 중에는 본디 담화표지로 기능하는 것도 있고 문법화를 거쳐 담화표지로 기능하는 것도 있다 후자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부분은 본디 어휘적 의미를 가진 내용어가 문법화에 의해 담화표지로 바뀌어 사용된다 아래의 (1)과 (2)에서 본디 어휘적 의미를 가진 내용어가 문법화에 의해 담화표지로 바뀐 보기를 살펴볼 수 있다 (1) ㄱ. 어머님, 제가 빨리 가겠습니다. 그러나 (2ㄱ)의 문장 끝에 배열된 '어머님'은 문장 머리에 배열된 '어머님'과 동일한 음성 형태를 가지면서도 내용어가 아니고 기능어인 담화표지이며, (2ㄴ)의 문장 중간에 배열된 '말이야'는 (1ㄴ)의 문장 끝에 배열된 '말이야'와 동일한 음성 형태이면서도 내용어가 아니고 기능어인 담화표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