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수양록] 뇌력사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6 00:37
본문
Download : [독서수양록] 뇌력사전(2).hwp
뇌는 특정한 환경 속에서 만들어진다. 뇌는 특정한 환경 속에서 만들어진다. 이것은 일종의 기억장애다. 피부를 자르거나 위를 잘라도 세포는 보통 분열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상처는 시간이 지나면 아물게 된다 그런데 신경세포는 성질이 달라 증가하지 않는다.
[독서수양록] 뇌력사전
Download : [독서수양록] 뇌력사전(2).hwp( 18 )
설명
뇌력사전
나카하라 히데오미, 김종성 감수
홍성민 옮김
베텔스만
초판 1쇄 2003년 1월
`밑줄`
복제 인간이라도 뇌까지 똑같을 수는 없다. 복제 인간이라고 해도 복제 대상이 된 사람과 똑같은 환경에서 자랄 수는 없다. 간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며 도스토예프스키도 간질병 환자였다. p50
실제로 임사 체험을 한 경우의 대부분은 심장이 정지한 상태나 출혈이 심할 때에나 볼 수 있다아 다시 말해 뇌에 혈액이 충분히 공급될 수 없는 상태일 때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아 p85
자전거를 타는 법을 한번 익히면 잊어버리지 않는 이유는 운동 기억같은 절차적 기억은 소뇌에 축적되어, 대뇌피질의 신경세포가 감소되어도 잊어버리지 않는다. p50
실제로 임사 체험을 한 경우의 대부분은 심장이 정지한 상태나 출혈이 심할 때에나 볼 수 있다아 다시 말해 뇌에 혈액이 충분히 공급될 수 없는 상태일 때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아 p85
자전거를 타는 법을 한번 익히면 잊어버리지 않는 이유는 운동 기억같은 절차적 기억은 소뇌에 축적되어, 대뇌피질의 신경세포가 감소되어도 잊어버리지 않는다. p42
신경세포는 죽으면 그것으로 끝이다. 뇌가 퇴화된다 늘 혼자 있고 대화를 하지 않는 사람도 뇌가 퇴화된다 p121
본인이 의식하지 못하지만 눈은 계속 움직이고 있다아 한 점을 응시하고 있을 때에도 눈동자는 미묘하게 흔들리며 움직이고 있다아 만약 눈이 움직이지 않으면 사물의 모양이 사라지게 보인다. 복제 인간이라고 해도 복제 대상이 된 사람과 똑같은 환경에서 자랄 수는 없다. p138
우울증은 200명에 한 명 꼴로 발병한다. 몸을 전혀 움직일 수 없고 힘이 없는 타입과 초조하고 불안한 기분이 드는 타입이 있다아 우울증에도 뇌내 물질이 관여하고 있다아 p180
알코올은 이성…(skip)
[독서수양록] 뇌력사전
레포트/감상서평
![[독서수양록]%20뇌력사전(2)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C%84%9C%EC%88%98%EC%96%91%EB%A1%9D%5D%20%EB%87%8C%EB%A0%A5%EC%82%AC%EC%A0%84(2)_hwp_01.gif)
![[독서수양록]%20뇌력사전(2)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C%84%9C%EC%88%98%EC%96%91%EB%A1%9D%5D%20%EB%87%8C%EB%A0%A5%EC%82%AC%EC%A0%84(2)_hwp_02.gif)
![[독서수양록]%20뇌력사전(2)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C%84%9C%EC%88%98%EC%96%91%EB%A1%9D%5D%20%EB%87%8C%EB%A0%A5%EC%82%AC%EC%A0%84(2)_hwp_03.gif)
[독서수양록] 뇌력사전 , [독서수양록] 뇌력사전감상서평레포트 , 독서수양록 뇌력사전
독서수양록,뇌력사전,감상서평,레포트
순서
다. 따라서 뇌는 같지 않다. 피부를 자르거나 위를 잘라도 세포는 보통 분열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상처는 시간이 지나면 아물게 된다 그런데 신경세포는 성질이 달라 증가하지 않는다. p92
유령이나 우주선을 봤다고 진지하게 ...
뇌력사전
나카하라 히데오미, 김종성 감수
홍성민 옮김
베텔스만
초판 1쇄 2003년 1월
`밑줄`
복제 인간이라도 뇌까지 똑같을 수는 없다. p92
유령이나 우주선을 봤다고 진지하게 말하는 사람이 있다아 이것은 실물을 눈으로 본 것이 아니라 뇌가 기억을 바탕으로 본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아 p110
어디선가 본 것처럼 느끼는 체험을 기시감 혹은 데자뷰라고 한다. 텔레비전을 보는 동안 뇌는 사고를 멈춘다. 따라서 뇌는 같지 않다. p42
신경세포는 죽으면 그것으로 끝이다. p113
뇌를 망치는 생활이란 어떤 것이 있을까 멍하게 텔레비전을 보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