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art.kr 2017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 tmart3 | tmart.kr report

2017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 tmart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mart3

2017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0:37

본문




Download : 20172_핵심요약노트_국문3_중세국어연습.pdf





중세국어연습,중세국어연습핵심,중세국어연습기출,중세국어연습시험,중세국어연습족보

제5장 중세국어의 문법과 문장
제2부 중세국어강독



1. 훈민정음





- 출제예상문제(해설포함) -
● 자음의 기본 글자


설명
- 중략 -

제1부 중세국어문법 제1장 훈민정음과 중세 한글문헌 제2장 형태소와 단어의 형성 및 구조 제3장 체언과 조사의 유형 및 특징 제4장 중세국어의 용언과 어미 제5장 중세국어의 문법과 문장 제2부 중세국어강독 제1장 훈민정음 언해 제2장 월인석보 - 출제예상문제(해설포함) -

(1) 오늘날의 ‘한글’에 해당하는 문자의 이름으로서의 의미



제1부 중세국어문법

● 훈민정음은 처음에 한문본으로 간행(한문본, 혜례본, 원본)되었고 일부가 우리말로 번역(예의본, 국역본, 언해본)되었다.
상형(象形)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자음의 기본 다섯 글자(ㄱ, ㄴ, ㅁ, ㅅ, ㅇ)와 모음의 기본 세 글자(, ㅡ, ㅣ)는 모두 이 상형의 원리에 의해 만들어진 것
●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발음 기관의 구체적인 모양을 본떠서 만들고 모음의 기본 글자는 天(하늘)·地(땅)·人(사람)의 모양을 추상적으로 본떠서 만들었음. 자음 17자와 모음 11자가 『훈민정음』 서문에서 말한 ‘新制二十八字(새로 만든 28자)’임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21809_001.jpg 21809_002.jpg 21809_003.jpg 21809_004.jpg 21809_005.jpg




순서


제1장 훈민정음과 중세 한글문헌
음의 높낮이를 말하는 것으로 평성은 낮은 음, 거성은 높은 음, 상성은 낮다가 높아지는 음을 말하는 것으로 각각 글자의 왼쪽에 무점(無點), 일점(一點), 이점(二點)의 방점으로 이를 표시
2017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제3장 체언과 조사의 유형 및 특징
제4장 중세국어의 용언과 어미

Download : 20172_핵심요약노트_국문3_중세국어연습.pdf( 21 )



● 훈민정음의 의미


제1장 훈민정음과 중세 한글문헌

제2장 형태소와 단어의 형성 및 구조

제1장 훈민정음 언해
(2) 그 문자에 대한 해설서로서의 의미
제2장 월인석보

● 성조와 방점
다.
전체 12,93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mart.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