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주현군과 주진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6 02:07
본문
Download : 고려 주현군과 주진군.hwp
나) 광군과 품군
현종 2년 이전 지방 통치 조직이 정비되었던 어느 즈음, 광군사는 광군도감으로 개칭되었다. 광군사는 또한 정종의 구상에 따라 궁극적으로 농민의 역역에 대한 중앙政府의 직접지배를 담당하는 관부로서의 역할도 가졌을 것으로 추측되나 지방 호족은 물론, 그들과 연결을 가지는 중앙의 귀족, 그리고 이 중의 역을 부담해야 하는 농민들의 반발로 인해 이러한 의도가 그대로 관철되지는 못하였을 것이다. 물론 중앙政府의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도 간과할 수는 없다. 이러한 점에서 광군은 대규모로 군사를 일으켜야할 필요가 있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투보다는 노역을 담당하던 부대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순서
주현군과주진군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1)주현군과 농민
(1)주현군의 성립
(2) 주현군의 성격
2)주진군과 국방체제
(1)양계의 주진과 주진군
(2)주진군의 조직과 지휘계통
(3)주진군의 임무
(4) 주진군 소속의 군인
1)주현군과 농민
(1)주현군의 성립
가. 광군
가) 광군의 성격
정종 2년(947)에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조직된 지방군으로, 농민으로 구성된 농민군이었다고 할 수 있따 30만 명에 달했다는 광군이 상비군이었다거나 일시적으로 조성되었다가 해체되었다기 보다는, 언제든지 동원될 수 있는 상설적인 군사조직으로서 일종의 농민예비군과 같은 성격을 지닌 것이었을 것이다. 후에는 그들의 후신인 향리들이 지휘권을 이어 갖게 된 듯 하다. 실제로 개심사의 석탑을 쌓는 일에 동원되었던 사실에서도 알 수 있따 중앙군의 1대가 25명으로 편성되었던 점을 비추어 역시 대를 단위로 조직된 광군도 그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광군의 설치와 함께 두어진 광군사는 전국 광군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된 중앙의 관부였던 것으로 보인다.주현군과주진군 , 고려 주현군과 주진군기타레포트 ,
다.…(省略)
고려 주현군과 주진군
설명
Download : 고려 주현군과 주진군.hwp( 57 )






본 자료는 고려의 군사조직인 주현군과 주진군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본격적인 의미에서의 지방관이 파견되지 못하였고 중앙政府의 지방에 대한 통치력이 확보되지 않았던 고려 초의 상황에서 중앙政府가 농민들을 동원하기란 불가능했을 것이므로, 광군은 당시 사실상 지방 통치를 맡고 있던 호족세력에 의해 조직되었으며, 부대 지휘권 역시 그들에게 장악되었던 것으로 보아야할 것이다.
본 자료는 고려의 군사조직인 주현군과 주진군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요컨대 광군은 중앙政府와 지방의 호족에 의한 농민 역역의 공동 지배 속에서 이루어진 군사조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