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인터넷(Internet) 언어 사용 실태와 해결 방안(方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05:24
본문
Download : 학생들의 인터넷 언어 사용 실태와 해결 방안.hwp
학생들이 이와 같이 적는 것은 자음 ‘ㅇ’ 한 글자를 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타자를 빠르게 할 수 있음을 고려한 결과라 해석된다
(1) 야사람이 살다보면 실수 할수도 있지 인가니 → 인간이
(2) 전 고수가 이름이 아닌지알아써요 → 알았어요
마자마자 …(skip)
다. , 학생들의 인터넷 언어 사용 실태와 해결 방안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1. 머리말
2. Internet 언어 사용 實態
2.1 음운·표기
2.2 문법
2.3 어휘
3. Internet 언어 사용의 problem(문제점)
3.1 교육적 문제
3.2 통신 環境의 문제
3.3 사회 생활의 문제
4. 문제 해결 plan
4.1 교육적 방법
4.2 통신망 안에서의 방법
4.3 사회 생활 지도의 방법
여기서 제시하는 언어 data(資料)는 발표자가 연구 책임자로 진행하고 있는 <바람직한 통신 언어 확립을 위한 기초 연구> (culture관광부) 과정에서 수집한 것이며, 조사는 2000년 6월 1일부터 8월 10일 사이에 Internet 대화방인 <하늘사랑>, <세이클럽> 등에서 이루어졌음을 밝힌다.
학생들의 인터넷(Internet) 언어 사용 실태와 해결 방안(方案)
Download : 학생들의 인터넷 언어 사용 실태와 해결 방안.hwp( 67 )
중고등학생들의 인터넷 대화방 언어 사용 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육 및 언어적인 관점에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통신상의 바람직한 언어 사용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살펴본 자료입니다.
2. Internet 언어 사용 實態
중고등학생들의 Internet 사용 언어를 크게 ‘음운·표기’, ‘문법’, ‘어휘’의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기로 한다. (1)의 ‘인가니’는 명사 ‘인간’에 조사 ‘이’가 이어지면서 연철이 일어났고, (2)의 instance(사례)들에서는 서술어 내부에서 연철이 이루어졌다.
2.1 음운·표기
2.1.1 이어적기
<한글 맞춤법>이 명사와 조사, 서술어 어간과 어미의 연결에서 끊어적기(분철)를 원칙으로 하고 있음에 비해 다음 instance(사례)는 이어적기(연철) 방식으로 표기한 것들이다.






중고등학생들의 인터넷(Internet) 대화방 언어 사용 실태를 구체적으로 analysis함으로써 교육 및 언어적인 관점에서 어떤 문제가되는점 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통신상의 바람직한 언어 사용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方案)을 살펴본 자료(data)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