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재건 특수를 잡아라](4.끝)플랜트·SI업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0:19
본문
Download : 2003041.jpg
대규모 국가인프라 성격이 강한 플랜트 및 시스템통합(SI) 부문은 재건·복구사업의 대표주자다.
◇政府(정부)지원 대책=지난 15일 政府(정부)는 청와대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라크 전후 복구사업 참여대책’을 마련,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높은 분야로 플랜트, SI사업 등을 꼽았다. 또 100억달러로 추산되는 아프가니스탄 복구시장 역시 현재까지 국내업체가 수주한 것은 단 한건도 없다”며 “예전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민·관이 공동으로 철저한 대응책을 마련,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설명
[이라크 재건 특수를 잡아라](4.끝)플랜트·SI업체
해외건설협회는 이를 바탕으로 올해 중동지역 플랜트·건설시장 규모를 당초보다 배 이상 늘어난 300억달러, 이 중 국내업체의 신규 수주량은 최소 30억∼3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라크 재건 특수를 잡아라](4.끝)플랜트·SI업체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
SI업체 중에는 파키스탄 중앙은행 전산화사업 참여 경험이 있는 현대정보기술 정도만이 작년 10월 설립한 UAE 두바이 합작법인 등을 활용, 현지 전후 복구시장 진출을 타진하고 있을 뿐 나머지 업체들은 ‘두고 보자’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따라서 政府(정부)는 이 분야의 복구사업 진출에 대해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자금지원규모 확대 △대출금리 인하 △무담보 자금지원 같은 지원을 펼칠 예정이다.
Download : 2003041.jpg( 12 )
[이라크 재건 특수를 잡아라](4.끝)플랜트·SI업체
레포트 > 기타
산자부는 우선 이달말께 산자부 장관을 단장으로 한 ‘대중동 플랜트 수주단’을 중동지역에 파견, 국내 업계의 플랜트 수주를 측면지원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복구규모 얼마나=16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발표한 ‘이라크 전후 재건과정 및 재건비용’ 보고서에 따르면 플랜트나 SI 등과 같은 기간시설 복구에 들어갈 비용은 155억∼395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라크가 그동안 각종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에 대해 유엔과 미국의 강력한 제재를 받아왔기 때문이다. 두산중공업은 최근 이라크 복구사업 공략을 위해 신규발전, 발전서비스, 담수, 건설사업반 등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팀을 발족, 시장조사와 strategy수립 등 모든 수주활동을 총괄하게 했다.
[이라크 재건 특수를 잡아라](4.끝)플랜트·SI업체
플랜트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 91년 걸프전 당시 전후복구 사업은 200억달러 이상에 달했으나 이 중 국내기업이 수주한 금액은 5000만달러에 불과다. 따라서 업계는 이라크는 물론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인접 중동지역 전반에 대한 SI 특수를 바라면서도 큰 기대를 하지 못하고 있는 눈치다. SI업계의 한 관계자는 “SI진출은 일단 플랜트·건설분야에서 재건이 이뤄진 다음 생각해볼 문제”라며 “복구상황을 지켜볼 수밖에 별다른 도리가 없다”고 말했다.
◇향후 전망=미국 주도로 종전이 이뤄진 만큼 우리나라 단독의 복구시장 진출은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진단이다.
반면 SI프로젝트 수주에 관한 복구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자료는 아직 없다. 따라서 미국·영국 등 참전국 업체와 협력, 또는 이들 업체의 하청업체로 들어가는 strategy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업계 움직임=플랜트·건설 관련 업계의 움직임은 활발한 반면 SI업계는 일단 관망세가 우세하다. 이에 따라 향후 이라크 재건 프로젝트에서 식량·생필품 지원과 함께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된다. 표 참조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