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강남자활후견기관 / 1. 자활후견기관의 일반 1 1 자활 및 자활후견기관의 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6:42본문
Download : 강남자활후견기관.hwp
1) 자활후견기관은 근로 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에게 집중적·체계적인 자활지원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자활의욕 고취 및 자립능력 향상을 지원하고,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자활촉진에 필요한 사업을 수행하는 민간자활사업실시기관이다. 당시 서울 의...
레포트 강남자활후견기관 / 1. 자활후견기관의 일반 1 1 자활 및 자활후견기관의 개
[리포트] 강남자활후견기관 / 1. 자활후견기관의 일반 1 1 자활 및 자활후견기관의 개
1. 자활후견기관의 일반 1-1 자활 및 자활후견기관의 개념 자활의 사전...
순서





Download : 강남자활후견기관.hwp( 52 )
설명
레포트 > 기타
다. 공공근로사업은 저소득 빈곤층에서 안정적인 일자리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비영리민간단체들의 참여로 실업자들의 소득 보전과 사회적 유용성을 가진 일자리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비영리민간단체의 참여를 통한 공공근로사업은 1990년대 빈민운동에서 시작된다. 1. 자활후견기관의 일반 1-1 자활 및 자활후견기관의 개념 자활의 사전...
1. 자활후견기관의 일반 1-1 자활 및 자활후견기관의 개념(槪念) 자활의 사전적 의미는 ‘제 힘으로 살아감’이며, 사회정책으로서 자활은 실직상태에 있거나 극히 불안정한 생계수단을 가진 사람들에게 취업 내지 創業(창업)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노동을 통한 자립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말한다.6) 이에 따라 정부는 고용창출의 일환으로 공공근로사업을 실시하였다.2) 지난 2000년 10월부터 보건복지부가 기초생활보장법3)상의 조건부수급자의 자활·자립을 위하여 일자리를 제공하고 創業(창업)을 지원하기 위해서 이 기관들을 지정하였으며, 5대 표준화사업4)과 특화사업으로 지역실정에 맞는 사업을 시행하고 있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근거한 자활사업 대상자는 기초보장제도의 수급 대상자 중 근로가 가능한 조건부수급자를 원칙으로 하며, 자활급여특례자, 조건부assignment외자, 차상위계층, 자활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수급자도 신청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보건복지부, 2004).5)1-2 자활후견기관의 역사 자활지원사업은 고용창출의 대안 중 하나로 1997년 경제 위기 이후에 시행되었다. 대량실업과 불안정한 노동자층의 증가로 인해 저소득 빈곤층이 확대되면서 커다란 사회문제로 부각되자 기존에 실시해 오던 장기빈곤층에 대한 공적부조와 같은 복지정책 뿐만 아니라 저속득 빈곤층에 대한 빈곤 및 노동시장정책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