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치제도상에 나타나는 군주권과 신권의 길항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2 20:18
본문
Download : 중앙정치제도상에 나타나는 군주권과 신권의 길항관계.pptx
_SLIDE_1_
중앙정치제도상에 나타나는 군주권과 신권의 길항관계
_SLIDE_2_
서론
국정운영에서 군신의 역할
국정운영 체계의 형성과 성격
고려의 권력구조와 재상권
고려시대 신하들의 권력집중구조
고려 후기 재상권의 변질
대간제도
結論(결론)
Reference List
목차
_SLIDE_3_
3/ 12
서론
고려왕조
국왕과 신료가 함께 국정을 이끔
국정운영의 체계⇒지배층의 입장과 관념이 반영
왕권
신권
_SLIDE_4_
4 / 12
국정운영에서 군신의 역할
태조: 훈요십조 제7조국왕이 군신의 마음을 얻으려면 요점은 간쟁하는 말을 따르고 참소하는 말을 멀리해야 한다”
→국왕이 정치를 독주하지 않고 신료와 합의 하에 이끌어 가야 한다는 관념
“아랫사람을 대할 때 공손히 하셨다”
성종 : 국왕과 신료가 권력을 어떻게 분배하며 국정을 어떤 방식으로 이끌어나갈 것인가에 대한 합의를 이루어 가는 시대
고려 초기 정치에 대한 비판과 반성이 이루어지는 시기
→최승로의 時務28條, 5朝政積評
광종 비판(광종의 독단적인 정치운영)
국왕과 신료 어느 한쪽이 권력을 독주하여 남용하면 지배층 전체가 위기에 빠질
수 있다고 인식
국왕이 정치를 주도하되 국왕과 신료가 “합의”를 하는 가운데 정치를 해야 함
⇒최승로의 관념이 단지 성종 대에 새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원래는 왕건 이래로 고려의 지배층이 가지고 있었던 관념
⇒후대에 까지 지속
_SLIDE_5_
5 / 12
국정운영 체제의 형성과 성격
당시 지배층은 중국(中國) 文化(culture) 의 수용을 통해 고려 초기 정치의 모순을 해결하려 함
광종 이래로 중국(中國) 文化(culture) 수용의 분위기가 지속됨
▶3성6부제도의 도입배경과 그 이유
“貞觀政要(정관정요)”: 군주가 정치를 주도하는 가운데 군주와 신료의 상하
관계 속에서 둘 사이의 조화로운 국정운영을 강조
당 이세민의 정관정요가 유행, 당시…(skip)






중앙정치제도상에 나타나는 군주권과 신권의 길항관계
중앙정치제도상에 나타나는 군주권과 신권의 길항관계 , 중앙정치제도상에 나타나는 군주권과 신권의 길항관계기타레포트 , 중앙정치제도상 나타나 군주권과 신권 길항관계
설명
순서
중앙정치제도상,나타나,군주권과,신권,길항관계,기타,레포트
중앙정치제도상에 나타나는 군주권과 신권의 길항관계
레포트/기타
Download : 중앙정치제도상에 나타나는 군주권과 신권의 길항관계.pptx( 57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