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整理)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20:27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hwp
‘생리음성학’이라고 부르기도 함.
-음향음성학 :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 자체(음파)의 물리적 property(특성)을 연구.
-청취음성학 : 청자가 귀로 소리를 듣고 그것을 음성으로 파악하는 과정을 연구.
2)대상에 따른 분류
-개별음성학 : 한국 음성학, 영어 음성학과 같이 특정 언어의 음성을 연구하는 것.
-일반음성학 : 모든 언어의 음성을 연구하게 되는 학문 분야.
(3) 소리가 나는 원리
1) 음성기관
-발동부 : 발동부란 정지되어 있는 공기를 움직이게 하는 기관으로 폐가 주된 역할을 한다.
[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 , [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국어학개론 한국어 분야 정리
설명
사회과학,국어학개론,한국어,분야,정리,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hwp( 50 )
[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整理)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국어학개론
`목차`
1. 서론
2. 음성학
3. 음운학
4. 형태론
5. 통어론
6. 방언학
7. 의미론
8. 계통론
9. 한국어사
10. 어휘론
11. 문자론
12. conclusion(결론)
1. 서론
- 한국어교사가 되려하는 사람들에게는 한국어학이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한국어학의 분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하나하나 알아보기로 하자.
2. 음성학
(1) 음성학이란
-뜻을 전달하기 위해서 음성기관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를 ‘말소리’라 하고 ‘말소리’를 대상으로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를 음성학이라 한다. 물론 개별언어학인 한국어학과 일반언어학의 관계는 완전히 별개의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이라서 둘 다 중요하긴 하지만 나와 한국어교사가 되려는 사람들이 가르치려는 한국어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나온 것이 한국어학이 아닐까한다.
-조직이나 다른 말소리와의 관계는 중요하지 않고 오직 하나하나의 소리의 특질만 연구.
(2) 음성학의 분류
...
국어학개론
`목차`
1. 서론
2. 음성학
3. 음운학
4. 형태론
5. 통어론
6. 방언학
7. 의미론
8. 계통론
9. 한국어사
10. 어휘론
11. 문자론
12. conclusion(결론)
1. 서론
- 한국어교사가 되려하는 사람들에게는 한국어학이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조직이나 다른 말소리와의 관계는 중요하지 않고 오직 하나하나의 소리의 특질만 연구.
(2) 음성학의 분류
1)영역에 따른 분류
-조음음성학 : 음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조음기관이 음을 조음할 때 어떤 자리에서 어떤 방법으로 조음하는지를 연구. 발동부에서 발음부까지의 생리현상을 연구한다.
-발음부 : 발성부에서 만들어진 …(skip)
![[사회과학]국어학개론%20-%20한국어의%20분야%20정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D%95%9C%EA%B5%AD%EC%96%B4%EC%9D%98%20%EB%B6%84%EC%95%BC%20%EC%A0%95%EB%A6%AC_hwp_01.gif)
![[사회과학]국어학개론%20-%20한국어의%20분야%20정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D%95%9C%EA%B5%AD%EC%96%B4%EC%9D%98%20%EB%B6%84%EC%95%BC%20%EC%A0%95%EB%A6%AC_hwp_02.gif)
![[사회과학]국어학개론%20-%20한국어의%20분야%20정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D%95%9C%EA%B5%AD%EC%96%B4%EC%9D%98%20%EB%B6%84%EC%95%BC%20%EC%A0%95%EB%A6%AC_hwp_03.gif)
![[사회과학]국어학개론%20-%20한국어의%20분야%20정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D%95%9C%EA%B5%AD%EC%96%B4%EC%9D%98%20%EB%B6%84%EC%95%BC%20%EC%A0%95%EB%A6%AC_hwp_04.gif)
![[사회과학]국어학개론%20-%20한국어의%20분야%20정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D%95%9C%EA%B5%AD%EC%96%B4%EC%9D%98%20%EB%B6%84%EC%95%BC%20%EC%A0%95%EB%A6%AC_hwp_05.gif)
![[사회과학]국어학개론%20-%20한국어의%20분야%20정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D%EC%96%B4%ED%95%99%EA%B0%9C%EB%A1%A0%20-%20%ED%95%9C%EA%B5%AD%EC%96%B4%EC%9D%98%20%EB%B6%84%EC%95%BC%20%EC%A0%95%EB%A6%AC_hwp_06.gif)
[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整理)
다. 이런 한국어학의 분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하나하나 알아보기로 하자.
2. 음성학
(1) 음성학이란
-뜻을 전달하기 위해서 음성기관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를 ‘말소리’라 하고 ‘말소리’를 대상으로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를 음성학이라 한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후두, 후부구강이 발동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다
-발성부 : 폐에서 나온 공기를 소리로 바꾸어(만들어)주는 곳으로 성대를 일컫는다. 물론 개별언어학인 한국어학과 일반언어학의 관계는 완전히 별개의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이라서 둘 다 중요하긴 하지만 나와 한국어교사가 되려는 사람들이 가르치려는 한국어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나온 것이 한국어학이 아닐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