的 자구의 의미 해석 / ‘的’자구의 의미 해석에 대하여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08:40
본문
Download : 的 자구의 의미 해석.hwp
순서
한·중 두 언어의 ‘的 -적’ 구조에서 보이는 위와 같은 대응상의 유사점과 차이를 대조해보고, ‘的 -적`를 중심으로 한 선행어(N1)와 후행어(N2)의 의미 관계를 정리하여 한국 한자어에 의한 china(중국) 어 학습상의 간섭을 배제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하는 것이 이글의 목표이다. 즉 아래 (1)의 예는 ‘的 -적’의 대응 양상이 비교적 단순하다. 이때 ‘적극적으로 돕다’는 술어적 구성은 가능하나 ‘地’로 써야한다.
‘的’자구의 의미 해석에 대하여 - 한·중 대비를 중심으로 - 1....





1. 서 론 3.1 N1과 N2
‘的’자구의 의미 해석에 대하여
(1) 대외적 활동 --- 對外的活動
(2) 적극적인 도움 --- 積極的幇助
2.1 N1+‘的1’+N2 3.3 V와 N
다. 이점은 한국인, 특히 한자어에 비교적 능한 한국인들의 경우 china(중국) 어 학습에 있어 오히려 간섭 조건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 다루는 ‘的’ 구는 한국어에서 일반적으로 漢字語로 표시될 수 있는 어구들이다. 그러나 china(중국) 어에서는 ‘的`로 명사구를 구성할 수 없다.
2.3 A+的+N 參考文獻
2.4 V+的+N 中文摘要
2. 출현 양상 3.2 A와 N
‘的’자구의 의미 해석에 대하여 - 한·중 대비를 중심으로 - 1....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한국어와 china(중국) 어 모두 ‘的 -적’으로 구성되는 어구가 매우 많으나 그 대응은 일률적이지 않다.
的 자구의 의미 해석 / ‘的’자구의 의미 해석에 대하여 -
개인적 능력 --- 個人的能力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는 그렇지 않다. 먼저 한·중 두 언어에서 ‘的 -적’구 출현 양상을 통하여 통사적인 차이점을 살펴본 다음 ‘的 -적’의 선행어와 후행어 간의 의미 관계를...
1. 서 론
설명
〈 目 次 〉
2.2 N1+‘的2’+N2 4. 결 론
Download : 的 자구의 의미 해석.hwp( 85 )
- 한·중 대비를 중심으로 -
的 자구의 의미 해석 / ‘的’자구의 의미 해석에 대하여
3. 선행어와 후행어의 의미 관계
한국어에서 ‘적극적인 도움’이라는 명사구 구성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