젓갈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00:09
본문
Download : 젓갈에 대하여.hwp
젓갈의 역사(歷史)와 제조 및 종류, 생성원리, 영양에 관련되어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젓국은 식염과 함께 버무려 담근 젓갈을 6~12개월 상온에서 저장 발효시켜 육질이 모두 분해되도록 한 후 저어서 마쇄하고 체에 걸른 후 끓여 살균하여, 수년을 보관할 수 있는 젓국이 된다 이는 김치제조에 주로 사용되며 간장과 같이 조미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온도가 높으면 숙성기간은 짧아지지만 부패의 염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염농도와 온도의 조절은 젓갈 제조의 key point(핵심) 이 된다 보통 젓갈 제조에 들어가는 식염은 20-30%정도이며, 숙성과정을 통해 염농도는 낮아지게 된다 요즘은 8%미만의 저염식 젓갈 제조방법이 개발되어 선을 보이고 있다 생선 전체, 껍질을 제거한 조갯살,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새우 등을 20%내외의 식염과 버무려 토기 항아리와 같이 광선이 차단되는 용기에 채워넣고 윗부분을 2~3㎝ 두께의 식염으로 덮은 후 빗물이나 공기가 차단되는 덮개를 씌워 2~3개월 상온에서 저장하면 내염성 세균과 효소의 작용으로 생선 비린내가 점차 없어지면서 구수한 아미노한 발효맛을 내게되며 즙액이 다소 생기게 된다 이렇게 발효된 어체를 고춧가루, 파, 마늘, 참기름 등으로 조미하여 조미젓갈을 만든다. 숙성과정에는 다양한 미생물과 물질들이 관여하는데 이 때 독성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온도, 산도, 염농도의 조절등 다양한 environment(환경) 인자들이 고려된다 염농도가 높으면 숙성기간이 길어진다.
젓갈에대하여-
설명
Download : 젓갈에 대하여.hwp( 11 )
,공학기술,레포트
젓갈에 대하여
순서
2) 젓갈의 제조
원료를 선택하여 선별하고 깨끗하게 세척한 다음 씻거나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 소금을 첨가해 숙성 발효시키는 과정이 그것이다.
3) 젓갈의 종류
요즘 주로 담그는 젓갈로는 서울·경기도의 새우젓, 황석어젓, 조기젓, 충청도의 새우젓, 어리굴젓, 조개젓, 밴댕이젓, 강원도의 서거리젓(북어 아가미), 창란젓, 명란젓, 경상도의 멸치젓, 대구모젓(대구 아가미), 호래기젓(꼴뚜기), 갈치속젓, 전라도의 새우젓, 토하젓, 갈치속젓, 게장, 굴젓, 돔배젓(전어 내장),제주도의 자라젓, 멸치젓, 소라젓, 게읏젓(전복 창자), 황해도의 참게젓, 까나리젓, …(skip)





젓갈의 역사와 제조 및 종류, 생성원리, 영양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젓갈에대하여- , 젓갈에 대하여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