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을 소재로 한 고려가요의 미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19:36
본문
Download : ‘이별’을 소재로 한 고려가요의 미학.hwp
하지만 지속의 가능성은 상대방이 가지고 있고 그것이 성취되기가 어렵다는 예감이 ‘괴시란’ 라는 조건절과 ‘우러곰 좃니노이다’ 즉, 울면서 따라가겠다는 문면 속에 감추어져 있따 점점 의미가 곡진해지면서 결국 헤어짐을 사이에 두고, 고향을 버리는 슬픔보다는 사랑 받는 기쁨이 훨씬 크기에 울며 쫓아가겠다고 하는 것이다. 사연은 절박해졌지만 표현은 완곡하고 우회적이 된 것이다. 그러기에 2연에서 화자는 헤어진 후에 애정이 지속을 다짐해 보는 것이다. 바위에 떨어져 구슬은 부서져도 끈은 남듯이 천년을 홀로 있어도 변치 않을 신의는 결국 화자의 신의이다. 이제 님은 대동강을 건너가면 화자를 잊고 다른 꽃을 꺾을 것이다. 하지만 화자는 무조건 쫓아가겠다고 나서지 못한다.
화자는 사랑하던 소성경에 고정…(skip)
고전시가수정본
이별을 소재로한 고려가요에 대하여
레포트/인문사회
다.
‘이별’을 소재로 한 고려가요의 미학
이별을 소재로한 고려가요에 대하여고전시가수정본 , ‘이별’을 소재로 한 고려가요의 미학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이별’을 소재로 한 고려가요의 미학.hwp( 89 )
순서






노래에는 화자와 상대방이 있고 사공과 건너편 꽃으로 표상 되는 여인 등의 제 삼자가 있따 화자와 상대는 소성경에서 서로 사랑하던 사이였고, 지금 화자는 상대방이 소성경을 떠나려 함을 알게 되었다. 상대방에 대한 원망을 제 삼자(사공, 다른 여인)를 빌어 토로한다. 사공을 향한 애소도 아무 소용없이 님은 떠났다. ‘괴시란’하는 조건절을 앞세움으로써 지속은 상대방의 의사에 달려 있으며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드러낸다. 화자는 상대방이 자신을 혹시나 데려가나 하는 기대를 가지고 있따
1연에서 화자는 소성경을 떠나게 된 님께 사랑만 해주신다면 정든 고향과 소중한 길삼베를 버리고 따라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한다. 3연에서 이제 님은 배를 타고 대동강을 건너가고 있따 슬픔과 절망에 휩싸인 화자는 떠나는 님에게 향하는 것이 아니라 배를 띄운 사공에게 원망을 퍼붓는다. 그러기에 ‘사랑해준다면 버리겠다’가 아닌 ‘이별할 바엔 버리겠다’이다. 고향과 길삼베 등 자신에게 속한 버리기 어려운 것들을 버리고 님과 함께 가겠다는 화자는 사랑의 지속에 능동적이다. 이별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기에 2연은 화자가 자신의 의지를 확인하고 스스로에게 다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