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문제와 상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2 11:52본문
Download : 정신건강문제와 상담.hwp
정신건강문제와 상담
consul_02222 , 정신건강문제와 상담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Download : 정신건강문제와 상담.hwp( 56 )






레포트/인문사회
consul_02222
1) 정신分析(분석) 및 정신역동적 심리치료
정신分析(분석)은 그 자체가 인간의 본성에 대한 theory 즉 Personality theory이며 심리적 병리에 대한 theory 이고 치료방법에 대한 theory 이다. 현실불안(reality anxiety)은 실제 위험이 외부에 존재할 때 자아가 느끼는 고통스런 정서이며, 신경증적 불안(neurotic anxiety)은 원초아(id)가 지나치게 강하게 작용함으로써 일어나는 불안으로, 개인이 자신의 충동을 통제하는데 실패하여 처벌을 받는 행동을 하게 될 것이라는 위협 때문에 경험하는 정서이며, 도덕적 불안(moral anxiety)은 초자아(super-ego)의 욕구가 강하여 죄책감이나 자기 비난감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는…(drop)
설명
다. 그에게 있어서 건강한 삶이란 id, ego, super-ego가 서로 균형있게 공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초아(id)는 쾌락의 원리에 따라 작동되며, 즉각적으로 흥분, 긴장, 에너지를 방출시켜 긴장을 감소시키고 만족을 얻으려는 경향이 있다 초자아는 완벽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도덕, 양심, 사회적 관습에 따라 행동하도록 요구하며 마지막으로 자아는 현실원리에 따르며, 현실 상황과 super-ego의 요구에 맞춰 id의 요구를 만족시키거나 표현하도록 기능한다.
Freud는 인간의 성격구조가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의 세 가지 주요 체계로 구성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Freud는 한 개인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성격 요소가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고 가정하였다.
세 가지 성격요소 중에서 어느 요소의 힘에 의해 불안이 야기되었는가에 따라 불안의 종류는 현실불안, 신경증적 불안, 도덕적 불안의 세 가지로 나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균형을 이루고자 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세 요소간의 갈등이 유발되는데 이때 어느 한 요소의 충동이 지나치게 강하게 되면 자아가 그 충동에 대해 위협을 느끼게 되어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고 보았다. 즉 정신分析(분석)은 하나의 방대한 theory 체계를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