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05:20
본문
Download : 7차 교육과정.hwp
그리고 국가 교육과정수준으로 제기될 문제가 아니라 교사가 학급 아이들의 발달정도와 학습능력을 고려하여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여건을 마련하고, 학습내용의 수준을 적절화하는 것이 assignment이다. 가장 큰 문제는 교과 중심으로 교육내용이 조직되고 중등 개발자가 많이 참여하면서, 전반적으로 내용수준이 높아진 것이다. 현장실행과정에서는 더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투비컨티뉴드 )
7차 교육과정에 대해서7차 , 7차 교육과정사범교육레포트 ,
다. 적용양태는 조금씩 다르지만, 수준별 교육과정이 교육의 목적이나 현장 실태(實態)에 맞지 않다는 비판이 많았다.
설명
7차 교육과정
레포트/사범교육



Download : 7차 교육과정.hwp( 41 )
순서
7차
,사범교육,레포트
7차 교육과정에 관련되어
2. 問題點
①교육 내용의 분량과 난이도 조절 실패
교육내용의 30%를 감축한다고 했던 7차 교육과정이 막상 뚜껑을 열어보자 오히려 전보다 교육내용의 양이 많아지고, 수준이 너무 높아졌다는 점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초등의 경우는 직접적인 피해가 많다.
③ 학습 방법에서 교육과정 편성 기준으로 격상된 수준별 교육과정
초등은 심화 보충형(국어,사회,과학,영어)과 단계형(수학)으로 나뉘는데, 실질적으로는 모두 심화보충형이다.
④ 교육과정 편제의 복잡성과 수업시수 증가
6차까지의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특별활동이었는데, 7차에 와서는 교과/재량활동/특별활동으로 나뉘고 하위영역들은 더 복잡하게 나뉘어 제대로 이해하기가 힘들다. 근본적으로는 교육 현장과 너무 유리되어 실제교육활동의 결과가 전혀 반영되지 않는 점에 있따 그리고 개발 과정에서 교과교육의 정체성, 내용영역에 기득권세력의 influence력 유무,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의 문제, 교과내용 자체의 타당성이나 영역간의 유기적 관계 부족, 교육과정이 교과서로 구체화되는 과定義(정의) 문제 등이 총체적으로 얽혀 있따
②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체제의 문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대해 선정된 10개 교과의 타당성이나 교과 수가 너무 많아 학기당 이수 교과목 수는 여전히 많다는 문제 등이 제기된다된다. 그 동안 초등 교과 수를 줄여야 한다는 opinion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고, 2000년 시행 초기부터 제기되는 교과나 편제상의 문제가 초등 독자적으로 해결할 수가 없는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