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언어와 文化(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5:21본문
Download : 언어와 문화.pptx
결혼 날짜를 잡은 후 다른 결혼식에 가지 않는다.
아기에게 귀엽다고 하면 수명이 짧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언어와 문화 , 언어와 문화인문사회레포트 , 언어와 문화






순서
_SLIDE_1_
금기어와
금기文化(culture)
_SLIDE_2_
차 to the 례
1. 금기어
2. 금기文化(culture)
방송과 관련된 금기어.
금기와 관련된 문학.
금기와 관련된 영화.
_SLIDE_3_
금기어란
금하거나 꺼리는 내용이 문장(Sentence)으로 표현되어 구전되어 온 말.
금기어의 시초
신성시되거나 추악시 되는 사람,사물,장소,행위,언어 등에 관하여 말하거나
접근하거나 만지거나 하는 행위를 금하고 꺼리게 하기 위해서 조상들이
생활 속의 지혜를 담아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어 만들어진 말.
_SLIDE_4_
행동적 금기어.
동네 처녀가 무지개를 손가락질하면 동네가 홍수가 난다.
벽에 지폐로 도배를 하면 귀신이 된다된다.
상여가 나갈 때는 길을 가로질러 걷지 않는다.
동짓날에 김장은 담그지 않는다.
고사 지내는 집에 개고기를 먹고 가면 좋지 않다.
남의 옷을 먼저 입어 보면 대신 죽는다.
_SLIDE_5_
초하룻날 머리를 감지 않는다.
산소에 차돌이 들어가면 자식의 머리가 센다.
고사 음식은 조금 떼어 놓고 먹는다.
용날에 간장을 담그면 좋지 않다.
3월장은 담그지 않는다.
밥상에서 잔소리를 많이 하면 복이 나간다.
결혼 첫날밤에는 절대 방에서 나오지 않는다.
밤에 여자가 거울을 보면 소박맞는다.
상 위에 바가지를 …(drop)
Download : 언어와 문화.pptx( 18 )
언어와 文化(문화)
언어와,문화,인문사회,레포트
언어와 文化(문화)
다.
제사가 든 날은 초상집에 가지 않는다.
상여를 멜 때에는 무겁다고 하지 않는다.
살구,복숭아는 제사에 쓰지 않는다.
여자는 날이 궂은 날 머리 감지 않는다.
복어국 먹고 사탕 먹으면 죽는다.
제사 지내는 날에는 빨래 줄은 풀어 놓고,대문은 열어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