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평가의 theory 및 현장 적용 事例(사례)에 대한 토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00:57
본문
Download : 수행평가의 이론 및 현장 적용 사례에 대한 토론_134265.hwp
선생님께서 가르쳐주시지는 않고 늘 평가 채점표만 들고 다니시면서 감시의 눈초리를 학생들에게 보내고 있다고 학생들이 생각한다면, 얼마나 주눅이 들겠습니까? 또한 평가를 좋게 받기 위해 필요한 교육을 받으려고 따로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사교육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되지 않을까요? 수행평가로 인해 사교육의 수요가 폭발할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수행평가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토론자가 가장 중요하게 받아들인(재해석한) 내용은 ‘평가와 교수학습 영역의 통합’입니다.
理論(이론)에 충실하자니, 그렇지 않아도 가르칠 시간이 빠듯한 수업 중에 많은 부분을 다시 평가에 할당해 주게 되고, 그렇게 되면 가르치는 내용은 더욱 부실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수행평가의 theory 및 현장 적용 事例(사례)에 대한 토론
순서
수행평가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토론자가 가장 중요하게 받아들인(재해석한) 내용은 ‘평가와 교수학습 영역의 통합’입니다. ... , 수행평가의 이론 및 현장 적용 사례에 대한 토론공학기술레포트 ,
수행평가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토론자가 가장 중요하게 받아들인(재해석한) 내용은 ‘평가와 교수학습 영역의 통합’입니다. 실제로, 수행 평가를 위해서 학원을 찾는 학생들의 수가 증가한다는 사실, 학원에서 수행평가를 대신…(省略)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수행평가의 이론 및 현장 적용 사례에 대한 토론_134265.hwp( 43 )
다. 이 때문에 수행평가의 도입은 교육의 改善(개선) 이 아니라 교육의 개악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저는 안 가르치고 평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말을 바꾸면 예전에는 한 달에 한번, 혹은 한 학기에 한 두 번씩 평가 시간을 정해서 그 시간에만 평가를 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수업을 하였는데, 이제는 시도 때도 없이 평가를 해야하고, 그 증거 자료(資料)를 모아야 하므로 수업은 안 이루어지고 평가만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런데 실제 많은 수행평가의 instance(사례)들을 보면, 대부분 평가의 유형(포트폴리오 평가냐, 실험보고서 평가냐, 서술 혹은 지필 평가냐 등)이나 평가의 항목과 배점 등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다양한 평가를 주어진(한정된) 시간 내에 어떻게 다 소화해내는가 때문에 많은 교사들이 힘들어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김찬종 선생님의 발표 내용에도 ‘평가를 학습이 모두 끝난 후에 학생들의 성취나 수행 능력을 평가한다는 의미보다는, 학생들이 교수 학습의 과정에서 진정한 과학 학습이 일어나도록 도와주는 쪽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 수행평가의 첫째 특징으로 제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