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유형원 (柳馨遠, 磻溪, 1622~73)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14:31
본문
Download : [인문] 유형원 (柳馨遠, 磻溪, 1622~73).hwp
[인문] 유형원 (柳馨遠, 磻溪, 1622~73)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田制에서 스타트하여 兵制로 완결되는 하나의 방대한 국가의 典範이라고 하겠다. 이듬해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를 단념하고 학문 연구와 저술에 전심하면서 수차 전국을 유람하였다.
저서 반계수록(磻溪隨錄)
ㅇ 20여 종의 저서와 문집을 남겼으나 남아 있지 않고, 《반계수록》과 《군현제(郡縣制)》 1권이 전할 뿐이다.
ㅇ 그는 모든 개혁은 토지제도의 개혁에서 출발한다고 파악하였다. , [인문] 유형원 (柳馨遠, 磻溪, 1622~73)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유형원 柳馨遠 磻溪 ~
순서
[인문] 유형원 (柳馨遠, 磻溪, 1622~73)
[인문] 유형원 (柳馨遠, 磻溪, 1622~73)
다.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함께 하늘을 같이 할 수 없는 원수??인 오랑캐에 대한 복수심으로 가득차 있었다. 31세에 『磻溪隨錄 』을 쓰기 스타트하여 49세에 완성하였다. 1665?1666년 두 차례(次例)에 걸쳐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었으나 모두 사퇴하였다.인문,유형원,柳馨遠,磻溪,~,인문사회,레포트
유형원 (柳馨遠, 磻溪, 1622~73)
생 애
ㅇ 본관 文化(문화)(文化). 호 반계(磻溪). 서울 출생. 2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23세 때 할머니 상(喪)을 당하고, 27세에 어머니 상, 30세 때 할아버지 상을 당하여 전후 9년간 상복을 입었으며, 지평(砥平)?여주(驪州) 등지로 옮겨 살았다. 職田制가 무너지고 궁방전, 둔전 등의 확대와 은결(隱結)이 격증하는 현실을 비판하고 모든 토지를 국유화하여 井田法을 …(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인문] 유형원 (柳馨遠, 磻溪, 1622~73).hwp( 38 )
설명
![[인문]%20유형원%20(柳馨遠,%20磻溪,%201622~73)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9C%A0%ED%98%95%EC%9B%90%20(%E6%9F%B3%E9%A6%A8%E9%81%A0,%20%E7%A3%BB%E6%BA%AA,%201622~73)_hwp_01.gif)
![[인문]%20유형원%20(柳馨遠,%20磻溪,%201622~73)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9C%A0%ED%98%95%EC%9B%90%20(%E6%9F%B3%E9%A6%A8%E9%81%A0,%20%E7%A3%BB%E6%BA%AA,%201622~73)_hwp_02.gif)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ㅇ 부국유민 기본目標(목표)는 그가 꿈에도 잊지 못하는 북벌을 실천하는 데에 있었다. 반계는 15살 때에 병자호란을 만나 원주로 피난을 하였다. 이러한 환경alteration(변화) 는 사상과 생활 태도에 많은 effect을 주었다. 집에 준마를 길러 하루에 3백리를 달리면서 양궁?조총으로 가동 및 里人들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ㅇ 호조참의(戶曹參議)?찬선(贊善)에 추증되었고, 부안 동림서원(東林書院)에 제향되었다.
ㅇ 1653년(효종 4) 전라도 부안현 우반동(愚磻洞)에 정착하였다.
균전제
ㅇ 중농사상에 입각하여 토지 겸병(兼倂)을 억제하고 토지를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도록 전제(田制)를 개편, 세제?녹봉제(祿俸制)의 확립, 과거제의 폐지와 천거제의 실시, 신분?직업의 세습제 탈피와 기회균등의 구현, 관제?학제의 전면 개편 등을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