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간 관계理論(이론) - 자기범주화理論(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01:25
본문
Download : 집단간 관계이론 - 자기범주화이론.hwp
자기범주화理論(이론)
Download : 집단간 관계이론 - 자기범주화이론.hwp( 49 )
설명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집단간 관계理論(이론) - 자기범주화理論(이론)
집단간 관계理論(이론) - 자기범주화理論(이론)
집단간 관계이론 - 자기범주화이론자기범주화이론 , 집단간 관계이론 - 자기범주화이론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자기범주화이론(理論)의 개요
- 사회정체성이론(理論)의 기본틀을 유지하며 수정한 대안이론(理論)
- 사회정체성이론(理論)에서 가정하는 긍정적 사회정체성의 추구 동기를 가정하지 않고, 자기를 개인적 존재나 사회적 존재로 범주화하는 인지과정을 중심으로 제안한 이론(理論)
(1) 자기범주화는 집단행동의 사회인지기반을 개인의 자기인지과정으로 說明(설명)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개념(槪念), 자기범주화이론(理論)에서는 사회정체성이론(理論)에서 사용하는 범주화를 자기개념(槪念)에 도입시켜서 일종의 자기이론(理論)으로 연구
(2) 자기를 범주화할 때 사회 범주화되면 그 자체만으로 집단간 discrimination과 집단내 응집력이 생기는 충분조건이 되는데, 이 결과 는 관련된 범주로 사회정체화하는 과정에 의해서 매개
(3) 집단규범과 사회범주의 유동성 때문에 상호작용 하는 집단의 내부에서는 사회맥락에 적합한 내집단 규범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집단간관계에서는 역동적 협상이나 집합으로 정체성을 추구하는 현상이 발생
(4) 집단에서 내집단 규범을 추구하는 과정은 자기범주화이론(理論)의 틀에서 제안한 준거 정보effect(referent informational influence)으로 說明(설명)
1) 준거정보effect은 다음 세 가지 상호의존적 요소들로 구성
① 사회정체성의 골격을 이루는 자기범주화
② 자기와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다른 성원들 혹은 관련 있는 외집단 성원과 상호작용하거나 watch을 통해서 내집단 규범을 확립하거나 발견하기
③ 내집단 규범을 자기에게 부과하기이다
2) 준거정보effect에서 볼 때 사회범주의 소속이 특출할수록 행동은 더욱 내집단 규범에 일치하거나 혹은 원형(原形)에 근접
(5) 자기범주화이론(理論)으로 보면 대인과정에서 집단과정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특정한 조건에서 자기지각이 개인범주로부터 사회범주로 alteration(변화) 된 것에 따른 결과 , 즉 자기정체성이 개인정체성으로부터 사회정체성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자기 지각과 행동이 탈개성화(depersonalization)됨을 의…(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