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로봇산업단지 설립 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3:30
본문
Download : 2004121.jpg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자체마다 로봇을 차세대 성장 산업으로 보고 관련 산업 연구단지와 로봇업체들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설명
지자체들 로봇산업단지 설립 붐
지자체들 로봇산업단지 설립 붐
◇지역별 特性화 유도=로봇 관련 기관과 단체들은 로봇단지의 지역별 특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중복 투자를 막고 지자체별 시너지를 극대화하자는 것.
레포트 > 기타
지자체들 로봇산업단지 설립 붐
현재 로봇산업 단지를 설립했거나 로봇센터를 만들겠다고 밝힌 지역만 부천, 대전, 마산, 포항, 안산 등 5개 지역에 달하고 있다
그 밖에 포항은 포항공대의 인적자원과 기술을 활용한 지능로봇개발연구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안산도 최근 2009년까지 135억원을 들여 경기테크노파크에 ‘허브 로봇센터’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김진오 실무위원회 위원장(광운대 교수)은 “지역별로 로봇단지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해야 국가 차원의 로봇 산업이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업 중심의 단지 육성=일부에서는 로봇단지 설립보다 로봇업체 중심의 지원이 더 절실하다는 지적도 있다
지자체들 로봇산업단지 설립 붐
지능형 로봇 차세대성장동력산업 실무위원회는 대전의 경우 신규 로봇벤처를 육성하는 쪽으로, 부천은 로봇 관련 부품단지로 육성한다는 복안이다. 대전시는 지역 발전 4개 첨단 사업 가운데 하나로 로봇을 꼽고 기존 대덕밸리와 연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부천은 로봇공동연구센터와 로봇상설전시장을 만들기 위해 내년부터 5년간 총 25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그 밖에 안산은 로봇의 허브단지로, 경남은 선박·기계 등의 산업용 로봇센터로 특화를 유도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로봇산업단지 설립 붐이 일고 있다





◇지역별 추진 상황=부천테크노파크 로봇산업연구단지에는 현재 대학연구소 6개, R&D기관 5개, 로봇업체 15개 등이 입주를 마친 상태다. 마산은 ‘경남로봇센터’를 중심으로 로봇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Download : 2004121.jpg( 52 )
다.
순서
대전과 마산은 지역 균형발전 특화사업의 일환으로 로봇밸리를 추진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