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사투리와 전라도사투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9:46
본문
Download : 제주도사투리와 전라도사투리.hwp
영광방언에서 소실자 `ᅀ, , ᄫ` 등의 음운을 보유하고 있따
``는 `ㅏ, ㅗ, ㅓ, ㅜ, ㅣ, ㅐ` 등으로 실현되며, 첫음절에서는 `ㅏ`로, 둘째 음절 이하에서는 `ㅓ, ㅜ, ㅡ, ㅣ, ㅐ` 등으로, 특히 설음, 순음, 치음 아래에서는 `ㅗ`로 실현된다
`ᅀ`는 마실·모실, 모솔(村), 가실·가슬(秋) 등의 명사와, 짓다(作), 낫다등의 용언에서 정칙으로 `ᄉ` 소리로 실현된다
`ᄫ`은 새비(새우), 버버리(啞) 등으로 실현되고 있따
Download : 제주도사투리와 전라도사투리.hwp( 91 )
,인문사회,레포트
제주도사투리와전라도사투리
제주도사투리와 전라도사투리에 대해 조사한 내용입니다.
설명
다.
레포트/인문사회
제주도사투리와 전라도사투리
제주도사투리와 전라도사투리에 대해 조사한 내용입니다.제주도사투리와전라도사투리 , 제주도사투리와 전라도사투리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전남방언의 자음 체계는 표준어와 별 차이가 없으나, 모음에서는 단모음 9개와 중모음 8개의 체계로 되어있따
이는 같은 전남방언이라도 동부전남의 단모음 10개와 중모음 10개와는 다르다.